SseopE
SseopE
SseopE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44)
    • Programming (3)
      • JAVA (3)
    • Spring (7)
      •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(5)
      • Spring 공부 (0)
    • Infra (6)
      • Docker (3)
      • Kubernetes (3)
      • Kafka (0)
    • Machine Learning (2)
      • Scikit-Learn (1)
      • MLOps (1)
      • BentoML (0)
      • Kubeflow (0)
    • OS (2)
      • Linux (2)
    • Algorithm (23)
      • Sorting (7)
      • BOJ (15)
      • Programmers (0)
      • Data Structure (1)
    • 특강 (0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TransformMixin
  • 2275번
  • boj
  • 스웜 모드
  • Kubernetes
  • 자바
  • 도커
  • BaseEstimator
  • resource
  • 1541번
  • 백준
  • java
  • docker
  • scikit learn
  • Spring
  • 2981번
  • container
  • 2580번
  • Spring boot
  • 1931번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SseopE

SseopE

Spring/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

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4 [Classes]

2022. 4. 25. 20:29

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사용한 클래스의 구분과 각 클래스를 구분한 이유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.


1. web

Controller : 웹 레이어 단으로써 url을 요청받아서 처리해서 데이터를 반환해주는 객체

Dto : 서비스단과 웹 레이어 단의 계층 간에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

Service : 요청을 받은 것을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객체 (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함)

 

2. domain

{name}.class : 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교환을 하는 객체

{name}Repository : 생성한 객체를 JPA를 이용해서 쿼리문을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

 

3. auth (어려워서 조금 상세하게..)

추후에 작성 예정...

Config : 

Service : 

Resolver : 

Annotation (LoginUser) : 

 

dtos

OAuthAttributes : 

SessionUser : 

'Spring >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4 [properties]  (0) 2022.04.25
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3 [Annotation]  (0) 2022.04.25
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2 [Plugins]  (0) 2022.04.24
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1 [Gradle]  (0) 2022.04.24
    'Spring/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4 [properties]
    •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3 [Annotation]
    •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2 [Plugins]
    •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- 1 [Gradle]
    SseopE
    SseopE

    티스토리툴바